[도서] 미움받을 용기
미움받을 용기
경험에 의해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험에 부여한 의미에 따라 자신을 결정하는 것이다
목적론
문제는
‘무엇에 있었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해석하느냐’
중요한것은 무엇이 주어졌느냐가 어니라 주어진 것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이다
변함으로써 생기는 불안을 선택할 것이냐
변하지 않아서 따르는 불만을 선택할 것이냐
아들러 심리학은 용기의 심리학이다
지금의 생활양식을 버리겠다고 결심하는 것
단점만 눈에 들어오는 것은 자네가
‘나 자신을 좋아하지 말자’라고 결심했기 때문이다
우리를 괴롭히는 열등감은 ‘객관적 사실’이 아니라 ‘주관적 해석’이다
건전한 열등감이란 타인과 비교해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이상적인 나’와 비교해서 생기는 것이다
지금의 나보다 앞서 나가려는 것이야말로 가티가 있다
내 얼굴을 주의 깊게 보는 사람은 나뿐이다
인간관계의 중심에 ‘경쟁’이 있으면
인간은 영영 인간관계에 대한 고민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불행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행동의 목표
자립할 것
사회와 조화흘 이루며 살아갈것
뒷받침하는 심리적 목표
내게는 능력이 있다는 의식을 가질 것
사람들은 내 친구라는 의식을 가질 것
인간은 이사람과 함께 있으면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다는 생각이 을었을때 사랑을 실감할 수 있다
그사람의 기대를 만족시키기 위해 살지말라
인정욕구 부정
자신을 바꿀 수 있는 사람은 자신밖에 없다
행복해지려면 ‘미움받을 용기’도 있어야 하네
그런 용기가 생겼을때,
자네의 인간관계는 한순간에 달라질 걸세
인간관계의 카드는 언제나 ‘내’가 쥐고 있다
수평관계에 근거한 지원을 아들러 심리학에서는 ‘용기 부여’ 라고 한다
타인을 행위의 차원이 아닌 존재의 차원에서 샇펴야한다
타인이 무엇을 했는가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존재하는 그 자체를 기뻐하고 감사해야 하는 것이다
변할수 있는 것과 변할수 없는 것을 구분
우리는 능력이 부족한게 아니라 용기가 부족한 것이다
인생이란 찰나의 연속이다
우리는 지금, 여기를 살아갈 수밖에 없다
인생 최대의 거짓말, 그것은 ‘지금, 여기’를 살지 않는 것이다
바꿀 수 없는 것에 집착하지 말고 눈앞에 있는 바꿀 수 있는 것을 직시하라
교육하는 입장에 놓여 있는 사람
그리고 조직의 운영을 맡고 있는 리더는
늘 ‘자립’을 목표로 내세워야 한다
칭찬이 경쟁을 낳는다
나의 가치를 내가 결정하는 것
이것이 자립이다
신용 상대가 가진 조건을 믿는것
신뢰 아무런 조건 없이 다른 사람을 믿는 것
인간의 가치는
어떤 일에 종사하느냐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그일에 어떤 태도로 임하느냐로 정해지는 것이다
진정한 소속감
타인을 신뢰하고 교우의 관계를 맺는 것
인생의 주어를 바꿔라
운명이란 자신의 손으로 만들어가는 것
사랑하고 자립하고 인생을 선택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