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Graph (2)
● Conveyor belt 컨베이어 밸트
> 랙탱글 스플라인 생성
> 가로 사이즈 늘림
> 큐브1 생성하여 필렛 3cm, 8적용
> 클로너에 큐브 종속시킴
> 클로너의 모드를 object모드로 변경
> 하단 object에 랙탱글 넣음
> 클로너의 distribution Even(또는) Step 선택후, 간격 줄임
> 200F으로 연장
> Offset의 키프레임 적용하여 무빙 : 0F 0% > 140F 50%
> 큐브2 생성
> 큐브2에 Rigid바디 적용
> 클로너에 콜라이더 바디 적용
> Collision탭_Individual Elements : All선택(밸트의 큐브를 전체로 인식)
> 각 바디에 Bounce 0%(가벼워서 튕김x), Friction값을 120%으로 적용
> 컨베이어 밸트의 동선을 둥글림 : 랙탱글 속성 Rounding 체크, radius 늘림
> 큐브2의 바디 속성_Mass탭_Custom Density_Density 10올려줌 : 큐브에 무게가 싣려서 떨어지고 흔들리지 않음
> 실린더 생성 크기 조절
> 옵티마이즈
> 뚜껑만 선택 I>안으로 줄음 D>0으로 만들고 빈공간 클릭+드래그해서 넣음(Max앵글 기본값 89º)
> 실린더에 콜라이더 바디 적용
> 속성_Collision탭_Shape_Static Mesh적용
○ Shape 메뉴
- Automatic : 기본 오브젝트 형식으로 인식, 담아지지 못함
- Automatic (MoDynamics) : 담아줌
- Convex Hull(헐) : Low Poly 상태, 넙스를 적용해도 각짐
- Moving Mesh : 동그라미로 인식, 움직일때
- Static Mesh : 제자리에있을때
> 이미터 생성 분출 방향을 아래로 바꿈 : 회전 90º
> 큐브를 이미터로 종속시킴
> Birthrate 값을 1로 입력
> 프레임 500F으로 연장
> 실린더2 생성하여 이미터 위로 관 만들어줌
--------------------------------------------------
● MoGraph 종류
- Cloner
- Matrix
- Fracture :
- MoInstance 잔상
- MoText
- Tracer : 추적자, 꼬리
- Mospline
※ 무료 플러그인 http://nitro4d.com/blog
● Thrausi = Fracture
Plug_in : google_nitro4D검색_freebie_Thrausi 다운
압축 해제 > C:\Program Files\MAXON\CINEMA 4D R13\plugins에 폴더채 붙여넣기
※ C4D프로그램 off상태에서 설치하고 다시 켜기
> 큐브 생성 > 큐브에 메뉴_Plugins_설치된 Thrausi_Thrausi 선택
> 메뉴: 피스 수 입력> Break Now 클릭
> 플랜 생성하여 바닥 만들어줌
> 콜라이더 바디 적용 Friction 90%
> 큐브를 상단으로 올림
> 큐브의 리지드 바디에 Friction 90% 적용
> 재질의 안팎 컬러 결정 가능
● Magic snow
> 플랜 생성
> 텍스트 생성 내용 입력
> 익스트루 넙스 생성하여 텍스트를 종속시킨 후 재질 색상 적용
> 메뉴_플러그인_Magic snow 적용
> Magic snow의 속성의 Collison에 플랜과 넙스를 드래그하여 적용
※ 폴리곤만 인식
> 커넥터 생성하여 종속시킨 후, C
> 널안에 생성된 폴리곤을 밖으로 꺼냄 : 나눠진 태그들 지우고 재질을 새로 적용
> Magic snow속성_size snow : 클수록 바닥에 쌓이는 눈이 둥글려짐 (내리는 눈의 크기에는 영향 안줌)
> Collison에 폴리곤 다시 드래그 적용함
> Keep the snow 버튼 : 첫프레임으로 돌아가도 쌓여진 상태로 유지
※ 퀄리티 낮추면 못생겨짐, 많이 쌓이면 랜더 속도가 느려짐
Magic snow자체에 재질이 들어가 있음 색상 변경 가능하나, 직접 변경하기보다는 라이트의 색상을 변경하여 변화줌
재질의 속성 연구 할 것!
● MoInstance
> 스피어 생성 > X방향으로 위치 이동
> MoInstance 생성 > 스피어의 X값 복사
> MoInstance와 스피어를 묶어줌 : Alt+G
> 모그라프 선택 된 상태에서 Step 이팩터 생성하여 적용되었는지 확인!
> Step속성_Parameter의 scale -1 입력 : 뒤따라오는 모양이 작아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