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지랑 놀자♡
Super map 본문
Super map
Music. Clapping Ukulele
Source. Blank Map, Concreate Texture
● 지구
> BlankMap 을 드래그 하여 새Comp 생성 : 컴프와 이미지의 이름 Map 수정
JPEG일 경우-----------------------------------
> *Color Key적용
* : Effects&Presets
- Key Color 전경색 클릭
- Color Tolerance 60
- Edge Thin 2
------------------------------------------------
> *Fill 적용
- Color 변경
> 새Comp 생성 후 FINAL 이름 수정
HDV/HDTV 720 25, Duration 10
> Map 컴프를 드래그로 넣기
> *CC Sphere 적용 : 지도가 3D로 변경됨
- Render Full
- Shading_Ambient 100, 이하 0 : 지구본의 음영 없앰
● 이동경로
▷ Map 컴프
> 펜툴 선택 후, Stroke 색상 변경
> 출발-경유-도착 지점을 찍음 : 곡선 형태가 되도록 드래그 이용
> 선두께 조절 15px
> Map레이어의 가이드 색상 변경
> PATH 이름 변경
> PATH 레이어_속성 contents_Shape_Stroke
_Dashes +클릭_Dash 60 조절
_Stroke Width 50 조절
> PATH_속성 Contents 우측 Add ▶클릭_Trim Paths 선택
_End 0% 80F 키적용
> 100F 33% 키적용
> 110F 키적용
> 130F 66% 키적용
> 140F 키적용
> 160F 82% 키적용
> 170F 키적용
> 190F 100% 키적용
> 적용한 전체 키를 드래그로 선택
> Easy Ease 적용 : F9
> 그래프창으로 보기
> 0지점의 키를 드래그로 선택
> ss모양 클릭 : 꽉채워 보기
> 가장 뒷쪽의 패스를 길게 늘려주기(드래그)
: Fast쓕~Slow단.., Fast쓕~Slow단.. 느낌
※ 참고 : 유튜브 Motion Graphic Tips 검색
※ Speed Graph로 보기
그래프 창_ 키 위에서 MRB_Edit Speed Graph 선택
▷ FINAL 컴프
> Render : Outside 수정 (보이는 면 방향에서 단면만 보임)
> 80F으로 이동 : 패스의 출발지점
> Rotation으로 패스가 보이게 위치 조절 후, 키적용
> 100F 이동 후, 회전하여 패스가 보이게 조절 : 자동 키적용
> 130F 반복
> 160F 반복
> 190F 반복
> 전체 키를 드래그로 선택 후, F9 적용
> 그래프 창_전체키 드래그 선택_가장 마지막 패스를 좌측으로 드래그
● 비행기 이동
▷ Map 컴프
> 패스로 비행기 만들기 : Stroke 0px
> Arrow 이름 변경
> 검색창에 "path" 찾아서 선택 : PATH_Contents_Shape1_Path1_Path 메뉴 클릭
> 전체메뉴 Edit_Copy : Ctrl+C
> Arrow의 시작점으로 이동 : PATH의 첫 키프레임 위치
> Arrow_속성 Contents_Position 메뉴 클릭 후, 붙여넣기
: 비행기가 이동경로를 따라 움직임
> Arrow의 전체 키를 드래그로 선택 후, Alt+드래그로 간격 늘임
> PATH의 키 간격에 맞춘 후, F9 적용
※ 이동경로와 같은 속도로 움직이지 않음
> Arrow 레이어_MRB_Transform_Auto-Orient 적용 : Ctrl+Alt+O
> 옵션 창 Orient Along Path로 변경
: 비행기의 방향을 이동경로 방향과 동일하게 만듦
> 80F 이동 후, Scale 0% 수정하고 키적용
> 100F 키적용
> 130F, 160F, 190F 반복
> 80-100F 중간, Scale 100% 수정하고, F9 적용
> 100-130, 130-160, 160-190F 반복
> Arrow 레이어의 가이드 색상 변경 : PATH와 같은색
● 위치 표시
▷ Map 컴프
> Ellipse Tool 선택하여 원형 그린 후, 중심점 가운데로 이동
: 플러그인 Reposition Anchor Point 창_Reposition 클릭
> Scale 80F 0% → 100F 100% 키적용
> F9 적용 후, 그래프창의 우측 패스를 좌측으로 늘림(드래그)
> Shape Layer 복제 후, 약간 뒤 3F정도로 이동
> 하위 Shape Layer를 Alpha Inverted Matte로 변경
> 103F 위치로 이동
※ 원의 테두리가 남음
> 상위 Shape Layer를 선택 후, Scale를 101%로 수정
: 하위 원보다 커져서 덮으므로 사라짐
> 두개의 레이어 나머지부분을 삭제 Alt+[, ]
> 두개의 레이어 선택 후, Pre-Comp 적용 : Ctrl+Shift+C
> CIRCLE FX 이름 수정하고 나머지부분을 삭제
> 중심점을 가운데로 이동
> 100F 지점의 위치로 이동
> CIRCLE FX 복제 후, 130F, 160F, 190F 지점의 위치로 이동 반복
● BG
▷ FINAL 컴프
> Solid 생성 후, 색 변경 BG이름 변경
> Concreate Texture 드래그 하여 상위에 올리기
> Soft Light 모드로 변경 후, Opacity 조절
> *Curve 다듬기
● 지구
▷ Map 컴프
> Solid 생성 후, 하늘색 변경 WATER 이름 변경
> 가장 하위로 이동
> FINAL 컴프의 Concreate Texture를 복사
> MAP 컴프의 WATER 레이어 위로 붙여넣기
> Opacity 조절
● 그림자
▷ FINAL 컴프
> 펜툴 클릭
> 지구의 음영이 들어갈 부분을 그린 후, 어두운색으로 변경
> MAP 레이어를 복제 후, 음영Shape의 상위로 이동
> 음영Shape는 Alpha Matte 적용 : 교집합 부분만 남음
> Opacity 20% 정도로 줄임
● 시작 모션
○ 번지듯 나타나는 효과
> 새Comp생성 후, ink effect 이름 변경
▷ ink effect 컴프
> Ctrl+K : Composition Settings_Width, Height 수정
: Map 컴프_Composition Settings_Width, Height 사이즈 와 동일
> Ellipse Tool 선택 후, 흰색으로 변경
> 여러개의 다양한 원형을 만듦
> 생성된 Shape Layer_속성 Contents Add ▶_Group 클릭
> Circles로 이름 변경 후, Ellipse1~15을 그룹에 넣음
> Opacity 40 수정 : Fill 글자 클릭 후, 옵션에서 수정
※ 레이어의 Opacity에서 조절 시, 원이 겹치는 부분 상관없이 일관적으로 표현됨
> INK로 레이어 이름 변경
> INK_속성 Contents Add ▶_Offset Paths 클릭
: 전체 서클을 한번에 컨트롤할 수 있음
> INK_속성 Contents_Offset Paths1_Amount -600 키적용, 0F
> 40F, Amount 150 키적용
> 두개의 키에 F9적용 후, 그래프 수정
> INK에 *Turbulent Displace 적용 : 원의 테두리가 일그러짐
- Complexity 5.5 테두리가 거칠게 표현됨
- Amount 170 양(?) 더 자글자글해짐
- Size 100 크기
> INK에 *Turbulent Displace 한번더 적용
- Complexity 5
- Amount 350
- Size 70 더 자글자글해짐
▷ Map 컴프
> ink effect 컴프를 드래그서 MAP 레이어의 상위에 놓기
> MAP 레이어를 Alpha Matte 적용
○ 지구본 시작 모션
▷ FINAL 컴프
> MAP컴프 레이어 선택
> 약간 Y축 방향으로 약간 회전 후, 적용된 키를 가장 앞으로 이동
: 회전하면서 나타나는 시작
> MAP컴프 Scale 0F 0% → 20F 100% 키적용
> 적용한 두 키 선택 후, Ease and wizz 적용
● 구름
○ Test----------------------------------------------
▷ 3D Orient Tuto 컴프
> 새Comp 생성
- 3D Orient Tuto로 이름 변경
- Preset HDV/HDTV 720 25 선택
> 펜툴로 구름 그리기 (Opacity 100%)
> 구름 중앙으로 중심점 이동
> 3D 박스 켜기
> 새 카메라 생성
- Custom 으로 변경
> Null 오브젝트 생성
> 3D 박스 켜기
> 카메라의 @를 Null 오브젝트에 드래그로 연결
※ Null_속성 Y Rotation 조절시, 카메라만 구름을 중심으로 이동함
> 구름 Shape Layer_MRB_Transform_Auto-Orient 클릭
- Orient Towards Camera 적용
※ 카메라 회전에 따라 구름도 함께 회전함
----------------------------------------------
▷ FINAL 컴프
> 펜툴로 구름 그리기 (Opacity 100%)
> 구름 중앙으로 중심점 이동
> 3D 박스 켜기
> Cloud 이름 변경, 레이어가이드 색상 변경
> Cloud 를 지구 좌측으로 이동
> Cloud _MRB_Transform_Auto-Orient 클릭
- Orient Towards Camera 적용
: 카메라을 향하여 바라보면서 회전
> 새 카메라 생성
- Preset : Custom 으로 변경
> Null 오브젝트 생성 후, Controle Camera 이름 변경
> Controle Camera 의 3D 박스 켜기
> 카메라의 @를 Null 오브젝트에 드래그로 연결
> 80F 지구본이 회전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Controle Camera 의 Y Rotation 0 키적용
: 지구안으로 들어가는 지점에서 시작
> 190F, 1바퀴 변경 후, 키적용
: 지구안으로 들어가는 지점에서 끝
> 두 키을 선택 후, F9 적용
> Cloud1 레이어의 필요한 부분만 남기고 앞부분 삭제 : Alt+[
> 레이어를 복제 후, Cloud1 을 MAP레이어 하위로 이동
: Cloud1이 사라질때 지구 뒤로 가려주는 역할
> Cloud2의 뒷부분 삭제 : Alt+]
> 구름이 나타는 지점에서 Scale 키적용
> 10f 앞으로 이동후, Scale 0% 키적용
> Cloud2의 앞부분 약간 살려주기
> Cloud2의 두 키 선택 후, Ease and wizz 창
- Easing : Back
- Type : Out
변경 후, Apply 적용
: 구름이 지구좌측에서 커지면서 나타난 후, 회전함
----------------------------------------------
<<Ease and wizz 플러그인 >>
: 생동감있는 움직임에 편리하게 적용
: 압출 풀어서 C:\Program Files\Adobe\Adobe After Effects CC\Support Files\Scripts\ScriptUI Panels 에 설치
> 설치 확인 : 전체메뉴 Window_하단에서 확인
> 사용 방법 : 텐션이 필요한 키 두개를 선택 후, 옵션 설정하고 Apply 클릭
- Easing : 텐션의 종류
- Type : 시작과 끝의 움직임을 제어, 주로 Out 사용
- Key : 키 적용, All로 사용
. Bounce 통통 튕기는 효과
. Back 뒤로 약간 작아지는 효과
. Elastic 고무효과 약간 튕김
----------------------------------------------
● 지구 이동
> BG와 Concreate Texture를 제외한 모든 레이어 Pre-Comp : Ctrl+Shift+C, Earth Final 이름 변경
> 텍스처를 상단으로 이동
> Earth Final 레이어 위치 이동
- Position 180F 키적용 → 200F 좌측으로 이동 후, 키적용
> 적용한 두 키 선택 후, Ease and wizz 적용
● 텍스트
> 텍스트 삽입
> 지구가 좌측으로 이동을 시작하자 마자 지점에서 텍스트 레이어의 앞부분 삭제
> *Overshoot 적용
● 반짝이는 스피어
> Ellipse Tool로 그린 후, 중심점 이동
> Scale 0% → 20F 이동 후, 100% 키적용
> 두 키 선택 후, F9 적용 후, 그래프 수정
> 두 키 사이에 Scale 120% 키 추가
> *Glow 적용
- Threshold 80%
- Radius 35
- Intensity 0.5
> Shape Layer를 복제하여 여러개 배치 후, 시간차 주기 : 레이어 시작점 상이하게 배치
> 각 레이어의 마지막 두키를 선택 후, Scale의 숫자에서 드래그 하여 크기 수정
: 키프레임의 위치를 키 위에 두고 수정할 것
> 전체 Shape Layer를 BG 레이어 상위로 이동
● 써클 FX
○ 써클 만드는 방법1
> 새 Comp 생성 후, More 이름 변경
> Ellipse Tool로 Fill X, Stroke 색, 10px 변경하여 그리기
> Shape Layer_속성 Contents_Ellipse
- Stroke : Round Cap으로 변경
- Dash +추가 : Dash 0, Gap 20 설정
○ 써클 만드는 방법2
> Ellipse Tool로 Fill 색, Stroke 색, 10px 변경하여 작은 원 그리기
> Shape Layer_속성 Contents_Ellipse
- Transform : Ellipse1
. Scale 0% 0F → 20F 이동 후, 70% 키적용
> 두 키 선택 후, F9 적용 후, 그래프 수정
> Shape Layer_속성 Contents 우측 Add ▶_Repeater 선택
- Repeater1
. Copies 15
- Transform : Repeater1
. Position 0
. Rotation 0º 20F → 40F 이동 후, 24º 키적용
. Anchor Point -70, 50 전체 둘레의 크기 조절
> Rotation의 두 키 선택 후, F9 적용 후, 그래프 수정
> Circle FX로 레이어 이름 변경
▷ Earth Final 컴프
> 지구를 중심으로 위치 이동
> 지구가 회전하는 순간 120F에 Circle FX이 시작되도록 뒤로 이동
> Circle FX의 Opacity 70%로 수정
> MAP 컴프 레이어 복제 후, 최상단에 위치 하고 Radial Wipe Info 이름 변경
> Scale 130% , Opacity 50% 수정
> *Fill 적용 후, Color 변경
> *Radial Wipe 적용
- Wipe : Counterclockwise
- Transition Completion 140F 100% → 160F 이동 후, 59% 키적용
> Transition의 두 키 선택 후, F9 적용 후, 그래프 수정
> Radial Wipe Info를 최하단으로 이동
> Radial Wipe Info를 복제 후, Radial Wipe Info2를 약간 뒤로 이동
> Radial Wipe Info2
- Fill_Color 변경
- Transition Completion 72% 변경
● 기타 FX
▷ More 컴프
> 펜툴로 Fill X, Stroke 색, 10px 직선 그린
> 중심점을 직선의 하단으로 이동
> Line FX 이름 변경
> Line FX_속성 Contents 우측 Add ▶_Trim Paths 적용
- End 0F 100% → 20F 이동 후, 0% 키적용
- Start 5F 100% → 25F 이동 후, 0% 키적용
※ 직선을 그릴 때,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그렸다면
- End 0F 0% → 20F 이동 후, 100% 키적용
- Start 5F 0% → 25F 이동 후, 100% 키적용
> 4개의 키 선택 하고 F9 적용 후, 그래프 수정
> Line FX_속성 Contents 우측 Add ▶_Repeater 적용
- Copies 9
- Transform : Repeater1
. Position 0
. Rotation Alt+타이머 클릭 후, 360/9 입력
. Anchor Point -30, 0 수치 조절하여 센터 맞춤
----------------------- 모양 변형 방법 -----------------------
> Line FX_속성 Contents 우측 Add ▶_Wiggle Transform 적용
- Wiggles/Second 0
- Transform_Rotation 조절
---------------------------------------------------------------
▷ Final 컴프
> Line FX 를 0F에 붙여넣기
> Line FX_속성 Contents_Repeater1
- Anchor Point 조절로 지구와 중심 맞추고, 크기 조절
> Earth Final 컴프 레이어 하단으로 Line FX 이동
> Earth Final 컴프의 Scale 0F 0% → 20F 100% 키적용
> Line FX_속성 Contents_Repeater1
- Anchor Point 20F 키 적용 → 0F 사이즈와 중심을 조절 후, 키적용
> Line FX_속성 Position
'놀이동산 > After Eff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at Style Smoke (0) | 2015.08.30 |
---|---|
Camera Shake (0) | 2015.08.26 |
Hologram (0) | 2015.05.22 |
Motion Graphic (0) | 2015.05.22 |
Freeze frame (0) | 2015.05.22 |